안녕하세요. 레스잇입니다. 오늘은 나스닥 혁신기업에 투자하는 ETF , IBB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IBB는 iShares NASDAQ Biotechnology ETF의 티커명으로 바이오기업에 투자하는 ETF 중 가장 큰 규모입니다. IBB를 운용하는 운용사는 세계 최대의 자산 운용사 블랙록입니다. 블랙록의 펀드 운용규모는 대략 한화 8400조 원이나 되는 만큼 압도적인 스케일을 자랑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 IBB」
IBB는 블랙록에서 운용하는 ETF로 나스닥 바이오기업을 위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이 펀드는 나스닥에 상장된 바이오 기업 중 초우량한 회사를 위주로 투자하고 있어 주로 종목 포지션을 라지-캡(Large-cap)기업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점이 특징입니다.
┃IBB분석
운용사 : 블랙록
시가총액: 8.90B(약10조1천억원)
보수: 0.46%
운용 종목수: 119
분배금: 0.19%(분기 지급)
┃MSCI ESG레이팅
IBB의 MSCI ESG레이팅은 BBB로 중위 이상의 ETF입니다.
┃차트
┃퍼포먼스
지수/기간 | 1달 | 3달 | YTD | 1년 | 3년 | 5년 | 10년 |
IBB (NAV) | -1.13% | -2.50% | 10.71% | 24.18% | 8.33% | 4.20% | 16.39% |
NASDAQ Biotechnology Index | -1.09% | -2.38% | 11.09% | 24.69% | 8.70% | 4.52% | 16.72% |
NASDAQ 바이오 테크 인덱스와의 추종력 역시 우수한 편입니다.
┃구성종목
Total Top 10 Weighting46.56%
순위 | 티커 | 종목명 | 비중 |
1 | GILD | 길리어드사이언스 | 7.35% |
2 | AMGN | 암젠 | 7.14% |
3 | REGN | 리제네론파마슈티컬스 | 6.40% |
4 | VRTX | 버텍스 파마슈티컬스 | 5.86% |
5 | ILMN | 일루미나 | 4.88% |
6 | SGEN | 시애틀 제네틱스 | 3.70% |
7 | BIIB | 바이오젠 | 3.55% |
8 | MRNA | 모더나 | 2.83% |
9 | ALXN | 알렉시온 파마슈티컬스 | 2.75% |
10 | INCY | 인사이트 | 2.08% |
타미플루 개발사 그리고 근래에 코로나 19의 램데시비르로 유명한 길리어드 사이언스가 전체 비중에서 7.35%로 1등이며 2등은 류마티스 관절염과 백혈병 치료제로 유명한 암젠이 7.14%로 양분하고 있습니다. 탑 텐 종목 중 라지캡은 58.8%로 과반수 종목이 라지캡에 속해 있으며 탑 텐의 구성 종목 비율은 46.56%로 과반에 약간 못 미치는 편입니다.
┃ETF 비교분석
운용사 | 종목 | 주가(20/10/30) | 배당률 | 운용보수 | 시가총액 |
Blackrock | IBB(iShares NASDAQ Biotechnology ETF) | 130.62USD | 0.19% | 0.46% | 8.09B |
ETFMG | GERM(ETFMG Treatments Testing and Advancements ETF) | 27.10USD | X | 0.68% | 50.77M |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 XBI(SPDR S&P Biotech ETF) | 112.63USD | 0.32% | 0.35% | 5.37B |
Invesco | PBE(Invesco Dynamic Biotechnology & Genome ETF) | 56.14USD | 0.21% | 0.58% | 222.86M |
IBB는 타 바이오 ETF보다 가장 시가총액이 크다는 메리트가 있으며 , 운용성에서도 안정적인 것이 장점입니다.
「 결론 」
21세기 이후 주목받는 4차 산업과 바이오 그중에서도 우량 바이오만 투자하는 IBB는 가장 믿음이 가는 운용사인 블랙록이라는 점과 "바이오기업은 투자하고 싶은데 , 바이오 개별종목은 잘 모르겠다"하시는 분들께 가장 적합한 ETF가 아닐까 싶습니다. 다만 기술주 ETF 대비 규모가 작다는 단점이 존재하며 근래에 주가 움직임 역시 기술주에 비해 수익률은 떨어졌으며 , 오히려 운용보수면에서도 기술주 ETF보다 비싸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모든 투자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STOCK&ETF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에서 나스닥에 투자하다! TIGER 나스닥100 그리고 QQQ와의 차이점 (0) | 2020.11.08 |
---|---|
ETF소개 - 4차산업도 대비할 수 있는 반도체의 최강자들에 투자하는 ETF , SOXX (0) | 2020.11.06 |
ETF소개 - 인베스코 나스닥100 QQQ의 형제들 QQQM , QQJ , QQQG (0) | 2020.11.01 |
ETF소개- 경기방어주 소비재에 투자하여 하락장을 대비하다! XLP (Consumer staples select Sector SPDR fund) (1) | 2020.10.30 |
ETF소개- 기술주가 계속 대세지!앞으로도 기대되는 ETF XLK -Technology select Sector SPDR Fund (0) | 2020.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