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레스잇입니다. 미국 나스닥 100 투자 예전부터 꾸준히 고려되어오던 상품으로 주로 QQQ로 미국 직접투자를 하였는데요. 그중에서 미래에셋은 그 어떤 운용사보다 발 빠르게 국내에 미국 관련 상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s&p500을 추종하는 VOO , IVV와 비슷한 상품인 TIGER미국 S&P500 등과 같이 말이죠. 오늘은 그중에서도 가장 핫한 미국의 거대 우량주 (MAGA라고도 합니다 ),이 MAGA가 들어있는 ETF , QQQ와 비슷한 추종을 하고 있는 국내 상품 "TIGER 나스닥 100"이 그 주인공입니다.
「 둘다 비슷한데 어떤 것을 선택하는 게 좋을까? 」
┃운용사
운용사는 미국의 인베스코 투자회사 그리고 한국의 미래에셋이라는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인베스코는 시가총액기준 약 7조 원 미래에셋은 5조 원이므로 단순비교 시 "회사 규모 차이는 크지 않다" 정도로 알고 계시면 좋을 듯합니다.
❝ 운용사를 기준으로 ETF 선택 방향 정할 필요는 없어 보여 ❞
┃운용보수
ETF를 고려할 때 운용사가 운용보수를 얼마나 떼어가는지 그리고 분배금은 얼마나 되는지가 같은 추종 상품이라면 큰 차이를 만들 것입니다. QQQ 같은 경우 0.20% , TIGER미국 나스닥 100 같은 경우 0.49%로 인베스코가 앞섭니다.
❝ Invesco QQQ > TIGER미국 나스닥 100 ❞
┃운용규모
AUM이라고 합니다. 그냥 사람들이 이 ETF에 돈을 얼마나 때려 박았나 정도로 아시면 될듯합니다. 당연히 많이 때려 박은 쪽이 선호하는 ETF겠죠. 인베스코 QQQ는 약 150조 원 그리고 TIGER나스닥 100은 5천억원 정도입니다. 이렇게만 보면 인베스코 QQQ가 가히 압도적이라 할 수 있는데요. 시장규모의 차의를 고려하지 않은 단순비교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미국 시장이 한국금융시장과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압도적이니까요..... TIGER나스닥100은 5천억원 정도이지만 국내 상장 ETF중에서는 1등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Invesco QQQ ≥ TIGER미국 나스닥100 ❞
┃분배금
ETF를 투자해서 운용사가 그 돈으로 주식을 사서 받은 배당금을 분배하여 투자 고객에게 비율대로 나눠주는 금액이죠. 당연히 분배금이 클수록 좋을 것입니다. Invesco QQQ는 0.53% , TIGER미국 나스닥 100은 1.11%로 TIGER미국 나스닥 100이 분배금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결국 운용보수 차이는 있지만 분배금에서 TIGER미국 나스닥 100이 앞서므로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을 상쇄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 TIGER미국 나스닥 100> Invesco QQQ ❞
┃환전수수료
국내 ETF는 환율의 변동이 자동 적용되어 실질적인 나스닥 100 인덱스의 움직임과 약간의 괴리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율 차이만큼 유동성공급자(LP)가 자동 적용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TIGER미국 나스닥 100은 Invesco QQQ Trust와 비교했을 때 환전수수료 그리고 환율에 대한 개인의 부담감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장점이 있을 것입니다.
❝ TIGER미국 나스닥 100≥ Invesco QQQ ❞
┃퍼포먼스
TIGER 미국 나스닥 100
구분 | 1개월 | 6개월 | 1년 |
기준가격 | 1.47 | 24.08 | 39.74 |
기초지수 | 1.47 | 24.00 | 39.80 |
기초지수대비 | 0.00 | 0.08 | -0.06 |
Invesco QQQ Trust
구분 | 1개월 | 6개월 | 1년 |
기준가격 | 4.59% | 24.08 | 44.46% |
기초지수 | 4.97% | 24.00 | 48.24% |
기초지수대비 | -0.02 | -0.08 | -0.28 |
퍼포먼스 차이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어느 것이 우수하다 단정 짓기 힘들 것 같습니다. 참고하셔서 보시면 좋을듯합니다.
┃구성종목
인베스코 QQQ와 TIGER나스닥 100의 구성종목의 TOP10 종목구성은 일치하나 비율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이 차이점은 펀드매니저의 운용방식 그리고 약간의 방향 추구성에 따라 매매 포지션의 변동이라고 보시면 될듯 합니다. 우리가 참고할 것은 TOP10이 리밸런싱(종목 재구성)에 따른 비율변동이나 나스닥 100인덱스의 추종력 정도만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결국에는 두 상품이 얼마나 나스닥100 지수에 잘 따라가느냐가 중요할 테니까요.
TOP10 구성종목
두 상품 모두 TOP10의 상품 비율이 50%를 초과하므로 TOP10에 따른 주가의 움직임이 막대하다 할 수 있습니다.
티커 | 기업명 |
AAPL | 애플 |
MSFT | 마이크로소프트 |
AMZN | 아마존 |
FB | 페이스북 |
GOOGL | 알파벳A |
GOOG | 알파벳C |
TSLA | 테슬라 |
NVDA | 엔비디아 |
PYPL | 페이팔 |
ADBE | 어도비 |
┃세금
TIGER 나스닥 100은 15.4%은 Invesco QQQ는 22%입니다. 단순비교 시 TIGER 나스닥 100이 얼핏 유리해 보이지만 자신의 투자 규모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은 250만 원까지 공제대상이므로 250만원 안에서의 차이에는 QQQ가 250만 원을 초과하게 되면 TIGER ETF가 유리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국내 주식은 2000만 원 초과시 금융소득종합과세를 내게 되므로 2000만원 초과 이익에 대해서는 다시 QQQ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이 역시 양도차익 없이 꾸준히 저축식으로 모아간다면 분배금의 중요성이 더 클 수 있으므로 정답은 없습니다. 자신의 투자목적과 방향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종목 | TIGER나스닥100 | Invesco QQQ |
배당소득세 | 15.4% | 15.4% |
매매차익 | 2000만원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 22% 연250만원 공제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포스트는 매수/매도 추천글이 아니며 , 모든 투자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STOCK&ETF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B 모기지증권 ETF -미국 주택시장에 투자하는 ETF[ishares MBS ETF] (0) | 2020.11.16 |
---|---|
SPY 미국을 가장 대표하는 ETF (SPDR S&P500 ETF Trust) (0) | 2020.11.13 |
ETF소개 - 4차산업도 대비할 수 있는 반도체의 최강자들에 투자하는 ETF , SOXX (0) | 2020.11.06 |
ETF소개 - IBB 나스닥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다! (0) | 2020.11.02 |
ETF소개 - 인베스코 나스닥100 QQQ의 형제들 QQQM , QQJ , QQQG (0) | 2020.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