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레스잇입니다. 어제 뉴욕과 나스닥 증시는 큰 폭으로 하락하였는데요. 코로나 2차 위기로 유럽지수가 폭락하면서 동시에 영향을 받은 것 같습니다. 오늘은 XLK ETF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XLK 」
XLK는 미국의 3대운용사인 STATE STREET에서 운용하는 ETF입니다. 스테이트 스트릿의 가장 대표적인 ETF로는 SPY가 있습니다. 스테이트 스트리트는 시장의 방향성에 따라 상품을 분류하였는데 XLK는 그중에서 기술주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XLK의 MSCI 지수 ESG레이팅은 AA등급으로 상당히 안정적인 인증된 규모의 ETF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ETF 시가총액 17위 규모로 펀드 규모 역시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 XLK 분석 」
운용사 : 스테이트 스트리트
시가총액: 33.76B
보수: 0.13%
운용종목수: 74
분배금: 0.88%(분기지급)
▤차트
XLK는 미국의 IT기업을 위주로 추종하고 있는데요. 퍼포먼스 역시 평균 이상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1년 변동률 38.72%로 준수한 수익률을 형성 중입니다. 글로벌 팬데믹으로 큰 낙폭 이후에 펜데믹 전 고점을 돌파하고 근래에 다시 조정세에 있는 모습입니다. 앞으로의 흐름이 어떻게 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퍼포먼스
지수/기간 | 1달 | 3달 | YTD | 1년 | 3년 | 5년 | 10년 |
XLK (NAV) | 2.21% | 9.22% | 28.25% | 42.35% | 24.79% | 23.70% | 18.90% |
S&P Technology Select Sector Index | 2.23% | 9.27% | 28.39% | 42.57% | 24.99% | 23.91% | 19.18% |
S&P 기술주 변동 대비 XLK의 실제 NAV값은 추종력이 거의 비슷하게 흘러가고 있습니다.
▤구성종목
*2020년 10월 29일 기준
Total Top 10 Weighting69.73%
순위 | 종목명 | 비중 |
1 | 애플 | 23.93% |
2 | 마이크로소프트 | 20.60% |
3 | 엔비디아 | 4.22% |
4 | 비자 클래스A | 4.09% |
5 | 마스터카드 클래스 A | 3.58% |
6 | 페이팔 홀딩스 | 3% |
7 | 어도비 | 2.93% |
8 | 세일즈포스 | 2.91% |
9 | 인텔 | 2.48% |
10 | 시스코시스템즈 | 1.99% |
TOP 10 종목의 비중이 70%에 달하는 만큼 TOP10의 주가 움직임에 따라 변동폭이 커질 수 있는 ETF로서 그중에서도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두 종목 비중이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ETF 흐름에 상당히 많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ETF 비교분석 」
운용사 | 종목 | 주가(20/10/29) | 배당률 | 운용보수 | 시가총액 |
state street global advisor | XLK(Technology select sector spdr fund) | 111.51USD | 0.88% | 0.13% | 33.76B(약38조) |
The vanguard group inc | VGT(Vanguard Information Technology ETF) | 300.62USD | 0.94% | 0.10% | 36.61B(약41조) |
Blackrock | IYW(Ishares us technology etf) | 294.42USD | 0.57% | 0.43% | 6.07B(약7조) |
Blackrock | IGM(iShares Expanded Tech Sector ETF) | 302.65UD | 0.34% | 0.46% | 2.79B(약3조) |
기술주 ETF로 VGT다음으로 규모가 있는 기술주 ETF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운용보수 역시 0.13%로 타 ETF 대비 저렴한 편이며 운용규모 역시 타 ETF대비 큰편입니다. 기술주에 관심이 있다면 XLK의 선택이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 결론 」
미국 시장 중 기술주 분야를 추종하는 ETF로서 마켓 운영규모도 상위에 있는 많은 이들이 사랑하는 ETF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기술주가 대세라고 보는 관측이 많은 만큼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볼 만한 ETF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TOP10의 집중도가 높은 만큼 시장 상황에 따라서 지수 변동이 높아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
*모든 투자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STOCK&ETF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소개 - 4차산업도 대비할 수 있는 반도체의 최강자들에 투자하는 ETF , SOXX (0) | 2020.11.06 |
---|---|
ETF소개 - IBB 나스닥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다! (0) | 2020.11.02 |
ETF소개 - 인베스코 나스닥100 QQQ의 형제들 QQQM , QQJ , QQQG (0) | 2020.11.01 |
ETF소개- 경기방어주 소비재에 투자하여 하락장을 대비하다! XLP (Consumer staples select Sector SPDR fund) (1) | 2020.10.30 |
ETF소개 -미국 S&P500지수에 투자하자! VOO(Vanguard S&P500 ETF) (2) | 2020.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