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볼 기업
서비스나우입니다.
IOT , 클라우드의 거스를 수 없는 대세
2000년 초 인터넷 시대가 온다며 한번 큰 파동이 있었습니다. "닷컴"만 들어가도 폭등하던 시절이 있었는데요. 몇 개 기업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인 매출을 내지 못하자 "버블"로 마무리되었던 아픈 기억이 있는데요. 2020년 클라우드 기업을 중심으로 다시 한번 기대감에 의한 주가 상승을 불러왔습니다. 이번 상승은 예전과는 달리 IT기업들의 매출이 잘 나오고 있으며 , 클라우드 IOT 역시도 실질적인 매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는 목소리와 이전 닷컴 버블과 결과는 비슷할 것이다 라는 의견이 있는데요.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비스 나우 기업을 타켓으로 삼다
서비스 나우는 기업의 업무 효율 극대화와 자동화를 돕는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서비스나우는 IT서비스관리 사업분야 마켓 점유율 1위 업체입니다. 앞전에는 기업이 자체적으로 컴퓨터나 데이터 시스템을 관리하였는데요. 문제가 발생할때 해결하는 구조라 업무효율이 다소 떨어지고 데이터나 플랫폼의 적절한 관리가 부재했습니다. 서비스나우는 이것을 노린 것입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기업의 데이터와 클라우드 등 모든 컴퓨터 관련 플랫폼이 제대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컴퓨터 , 인터넷과 관련된 토털 케어 솔루션이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서비스 나우의 강점은 여기에 있는데요. 한번 서비스를 받기 시작하면 기업은 끝까지 서비스나우로부터 솔루션을 제공받는데에 있습니다.
서비스나우의 비전
나우 플랫폼
서비스 나우의 기업 케어 솔루션은 NOW라고 불립니다. 나우는 크게 4가지를 중점적으로 나누어 운용하고 있습니다.
1. IT 워크플로우
서비스 나우는 IT에 최적화된 생산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 고용 워크플로우
당신의 회사 직원들에게 알맞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3. 고객 워크플로우
디지털 워크플로우와 연결하여 고객들에게 충성심을 이끌어 냅니다.
4. 앱 엔진
기업들의 피시 워크플로우를 모바일로 바꾸어 , 기업이 어디서든 필요로 할 때 서비스 나우는 제공해줍니다.
고객 증가
서비스 나우의 구독자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 앞으로도 대다수의 기업고객들에게 서비스나우의 "나우플랫폼"을 이용할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서비스나우의 나우플랫폼은 일회성이 아닌 기업들에게 평생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서비스 나우의 주요고객인 100만달러이상 투자한 기업고객 수 입니다. 18년 3분기 610대비 20년 3분기에는 1012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서비스나우의 사업구조
서비스 나우는 크게 3가지 사업구조로 나뉩니다. IT워크플로우 / 고객&직원 워크플로우 / 나우 앱 엔진과 기타입니다.
서비스 나우의 사업구조를 보면 IT워크플로우 기반이 전체 매출의 60%이상으로 과반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주목할것은 그 파이가 연도가 흐를수록 조금씩 줄어들고 고객&직원 워크플로우와 나우앱에 대한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점입니다. 이것은 초창기에는 고객확보에 따른 대부분의 매출이 IT워크플로우로 시작했으나 , 기업고객이 어느정도 확보됨에 따라 이제는 서비스나우의 플랫폼자체의 안정성 그리고 운용기술의 향상에 따른 성과로 보여집니다. 기존의 기업고객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 그 기업의 고객과 직원의 관리를 돕고 , 기업의 전반적인 운영을 관리하며 서비스나우에 대한 신뢰향상과 더불어 매출증가로 나타난것이죠.
서비스나우 투자지표
매출
단위:백만 달러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E) |
1005 | 1390 | 1918 | 2608 | 3460 | 4477 | 5589 |
기업 정리
기업명 | 서비스나우 |
상장시장 | NYSE |
티커 | NOW |
CEO | Bill McDermott |
시가총액 | 102.78B USD |
배당률 | - |
주가
간단 재무제표
매출(REVENUE) 기준통화: USD
*높을수록 좋음
2016 | 2017 | 2018 | 2019 | 2020(E) |
1390m | 1918m | 2608m | 3460m | 4477m |
영업활동 현금흐름(operating cash flow)
*높을수록 좋음
2016 | 2017 | 2018 | 2019 | 2020(E) |
159m | 642m | 811m | 1235m | - |
주가 수익비율(pe/ratio)
*낮을수록 좋음
2016 | 2017 | 2018 | 2019 | 2020(E) |
- | - | - | 85 | 905 |
읽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 댓글과 공감은 큰 힘이 됩니다.
*본 포스트는 개인의 의견을 작성한 것으로서 매수/매도 추천글이 아니며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STOCK&ETF > 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페이즈에너지 (ENPH)- ENPHASE ENERGY 친환경시대의 개막? (12) | 2021.01.10 |
---|---|
버크셔해서웨이 - 세상에서 가장 비싼 주식인 A주 (33) | 2021.01.06 |
코스트코 홀세일 - COST 생각의 전환! 오프라인유통으로 COVID-19에 대항하다. (33) | 2021.01.04 |
월트디즈니- DIS 한국인에게 가장 친숙한 미국 기업 (48) | 2021.01.02 |
핀뚜어뚜어 拼多多 - PDD 알리바바 게 섰거라! 중국쇼핑몰시장의 지각변동 (47) | 2020.12.31 |